SH 청년임대주택 조건 및 신청 방법 완벽 안내
서울에서 자취를 시작하려는 청년들에게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주거 문제입니다. 월세는 비싸고, 전세는 부담스럽다면? 서울시와 SH공사가 운영하는 ‘SH 청년임대주택’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SH 청년임대주택의 조건, 임대료, 신청 방법을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SH 청년임대주택이란?
SH 청년임대주택은 서울시 내에 거주하거나 거주 예정인 무주택 청년들을 위해 제공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전용면적 30㎡ 이하의 원룸 또는 오피스텔형 주택에 시세 대비 약 3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어,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매우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신청 자격
- 만 19세 이상 ~ 만 39세 이하의 무주택자
- 서울시 거주자 또는 서울시 내 직장/학교를 다니는 자
- 개인소득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2025년 1인 기준 약 2,664,000원)
- 총 자산 3억 2천만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임대 조건 및 혜택
항목 | 내용 |
---|---|
임대료 | 시세의 30~50% 수준 (월 15~35만 원대) |
임대 기간 | 2년 계약 /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 |
주택 형태 | 원룸, 소형 오피스텔, 청년전용 주택 |
보증금 | 100만 원 ~ 500만 원 수준 (주택별 상이) |
관리 방식 | SH공사 직접 관리 또는 위탁 운영 |
신청 방법
- SH공사 홈페이지 접속
- “청년임대주택” 공고 확인
-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첨부
- 소득 및 자산 심사 후 대상자 선정
- 계약 체결 및 입주
모집은 보통 상반기(5~6월) / 하반기(10~11월)에 진행되며, 공고 일정은 SH공사 공식 홈페이지(www.i-sh.co.kr)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사항
- 계약 후 1개월 이내 실입주 필수
- 주거지 이전 시 주민등록 주소 이전 필요
- 임대 기간 중 자산·소득 증가 시 재계약 제한 가능
SH 청년임대주택이 적합한 사람은?
- 서울에 직장이나 학교가 있지만 주거 비용이 부담스러운 청년
- 독립을 준비하고 있으나 초기 자금 여유가 없는 사회초년생
-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신뢰와 안정성을 중시하는 무주택자
마무리
SH 청년임대주택은 서울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주거 대안을 제공하는 핵심 정책입니다. 임대료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신청 조건에 해당된다면 모집 공고를 놓치지 말고 지원해보세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4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