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대출】버팀목 전세대출과 디딤돌 대출의 차이점 완벽정리
전세자금이 부족하거나 내 집 마련이 필요한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정부지원 대출 상품입니다. 그중 대표적인 두 가지가 버팀목 전세대출과 디딤돌 대출인데요,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지만 용도와 조건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대출의 차이점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버팀목 전세대출이란?
버팀목 전세대출은 무주택 세대주가 전세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출입니다.
- 대상: 청년,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주
- 용도: 전세보증금
- 대출한도: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 금리: 연 1.2% ~ 2.4%
- 상환방식: 일시상환 또는 분할상환
2. 디딤돌 대출이란?
디딤돌 대출은 무주택 실수요자가 주택을 구입할 때 정부가 지원하는 장기 저리 대출입니다.
- 대상: 무주택 세대주 (생애최초 구입자 포함)
- 용도: 주택 구입
- 대출한도: 최대 2억 원
- 금리: 연 1.85% ~ 3.0%
- 상환방식: 원리금 균등 또는 원금 균등 상환
- 주택 요건: 매매가 5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3. 버팀목 vs 디딤돌 대출 비교표
구분 | 버팀목 전세대출 | 디딤돌 대출 |
---|---|---|
대출 목적 | 전세보증금 지원 | 주택 구입 자금 |
대상 | 무주택 세대주 (청년 포함) | 무주택 실수요자 (생애최초 포함) |
소득 기준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6천만 원) |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 원) |
대출 한도 | 최대 1억 2천만 원 | 최대 2억 원 |
금리 | 연 1.2% ~ 2.4% | 연 1.85% ~ 3.0% |
대출 기간 | 기본 2년 (최장 10년) | 10년 ~ 30년 |
상환 방식 | 일시상환 or 분할상환 | 원리금 또는 원금 균등상환 |
4. 어떤 대출을 선택해야 할까?
- 전세로 거주 중이고 보증금이 부담될 경우 👉 버팀목 전세대출
- 집을 매매하려고 할 경우 👉 디딤돌 대출
두 대출은 동시에 신청할 수 없으며, 계약 유형에 따라 선택이 나뉩니다.
5. 신청처 및 유의사항
- 신청처: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또는 은행
- 신청 전 자격 조건과 주택 요건 필수 확인
- 해당 상품은 무주택자만 신청 가능
주택도시기금 공식 홈페이지: https://nhuf.molit.go.kr
버팀목 전세대출 vs 디딤돌 대출 요약 비교표 (2025년 기준)
구분 | 버팀목 전세대출 | 디딤돌 대출 |
---|---|---|
대출 목적 | 전세보증금 마련 | 주택 구입 자금 |
대상 | 무주택 세대주 (청년 포함) | 무주택 실수요자 (생애최초 포함) |
소득 기준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6천만 원) |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 원) |
대출 한도 |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지방 최대 8천만 원 |
최대 2억 원 |
금리 | 연 1.2% ~ 2.4% | 연 1.85% ~ 3.0% |
대출 기간 | 기본 2년, 최장 10년 | 10년 ~ 30년 |
상환 방식 | 일시상환 또는 분할상환 | 원리금 또는 원금 균등상환 |
주택 요건 | 보증금 3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매매가 5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신청처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또는 은행 |
6. 마무리
버팀목과 디딤돌 대출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용도의 대출입니다. 내 상황에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하여 정부의 저금리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 본 글은 2025년 3월 기준 정보로 작성되었습니다. 상품 조건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반드시 공식 기관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