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기준에 따른 건강위험군 기준표와 이를 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건강위험군 기준표 (2025년 기준)
항목 | 정상 범위 | 건강위험군 기준 |
---|---|---|
수축기 혈압 | 120mmHg 미만 | 130mmHg 이상 |
이완기 혈압 | 80mmHg 미만 | 85mmHg 이상 |
공복 혈당 | 100mg/dL 미만 | 110mg/dL 이상 |
허리둘레 (남) | 90cm 미만 | 90cm 이상 |
허리둘레 (여) | 85cm 미만 | 85cm 이상 |
BMI (체질량지수) | 18.5 ~ 22.9 | 25 이상 → 과체중/비만 |
HDL 콜레스테롤 (남) | 40mg/dL 이상 | 40mg/dL 미만 |
HDL 콜레스테롤 (여) | 50mg/dL 이상 | 50mg/dL 미만 |
중성지방 (Triglyceride) | 150mg/dL 미만 | 150mg/dL 이상 |
※ 3개 이상 해당 시 ‘대사증후군 의심군’으로 분류됩니다.
건강위험군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
1.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대상자 확인
이 기준표에서 1개 이상 해당될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참여 대상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즉, 해당 항목을 개선하면 연 최대 6만 원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 질병 예방 및 조기 대응 가능
고혈압·당뇨·지질이상 등은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쉽습니다. 건강위험군 기준을 알고 내 수치를 비교해보는 것만으로도 예방 및 조기 치료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3. 건강관리 목표 설정의 기준
단순히 ‘운동해야지’가 아니라, 내 현재 혈압이 135라면 → 목표: 130 이하로 낮추기 내 BMI가 26이라면 → 목표: 23 이하로 만들기 이런 식의 구체적인 건강 목표를 세울 수 있게 도와줍니다.
나의 건강위험군 여부 확인 방법
-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 또는 ‘The건강보험’ 앱 접속
- ② 나의 건강검진 결과 → 항목별 수치 확인
- ③ 기준표와 비교해 건강위험 여부 체크
- ④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대상 여부 자동 안내
Key Point -
건강위험군 기준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건강실천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기회이자 내 몸의 경고 신호입니다. 지금 건강검진 결과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 기준을 넘은 항목이 있다면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에 참여해 건강도 챙기고 지원금 혜택도 누려보세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4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