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2025 최신】 디딤돌 대출이란? 전세대출과의 차이점과 신청 방법 총정리

metabloger 2025. 4. 7. 19:30

【정부지원】디딤돌 대출이란? 전세대출과의 차이점과 신청 방법 총정리

'디딤돌 대출'은 종종 '전세자금 대출'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내 집 마련을 위한 주택 구입 자금 대출입니다. 전세자금을 위한 대출은 버팀목 전세대출이 맞고, 디딤돌 대출은 생애 최초 또는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매입용 대출 상품입니다.

1. 디딤돌 대출이란?

디딤돌 대출은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기금이 운영하는 무주택 실수요자 대상 주택 구입 자금 대출입니다. 기존 시세 대비 저렴한 매매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려는 국민을 위해 저금리로 장기 대출을 제공합니다.

2. 신청 대상

  • 만 19세 이상 무주택자
  • 세대주 또는 예비세대주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생애최초 구입자는 7천만 원 이하)
  • 구입 주택 가격 5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주택 구입 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출할 경우 이용 가능

3. 대출 조건 및 한도

  • 최대 대출 한도: 2억 원 (지역 및 소득에 따라 상이)
  • 금리: 연 1.85% ~ 3.0% (소득 및 만기 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
  • 상환 방식: 원리금 균등 또는 원금 균등
  • 대출 기간: 10년, 15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

4. 전세자금 대출과의 차이점

구분 디딤돌 대출 버팀목 전세대출
용도 주택 구입 전세 보증금
대상 무주택 실수요자 무주택 세대주
최대 한도 2억 원 1억 2천만 원
대출 기간 10~30년 최장 10년
금리 1.85% ~ 3.0% 1.2% ~ 2.4%

5. 신청 방법

  1.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접속 (https://nhuf.molit.go.kr)
  2. 자격 요건 확인 후 상품 신청
  3. 필요 서류 제출 (주택매매계약서, 소득서류 등)
  4. 은행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심사 및 실행
  5.  

디딤돌 대출 vs 버팀목 전세대출 요약 비교표 (2025년 기준)

구분 디딤돌 대출 버팀목 전세대출
대출 목적 주택 구매 (매매용) 전세보증금 지원
대상 무주택 실수요자 (세대주) 무주택 세대주 (청년·신혼부부 포함)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 6천만 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 원 이하)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6천만 원 이하)
대출 한도 최대 2억 원 수도권 최대 1.2억 원,
지방 최대 8천만 원
금리 1.85% ~ 3.00% 1.2% ~ 2.4%
대출 기간 10년 ~ 30년 기본 2년 (최장 10년)
주택 조건 5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보증금 3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신청처 주택도시기금 또는 은행 주택도시기금 또는 은행

 

6. 마무리

디딤돌 대출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장기 저금리 대출로, 일정 소득과 주택 조건을 충족하면 높은 한도와 저렴한 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전세자금이 필요하다면 버팀목 대출을, 주택 구입이라면 디딤돌 대출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2025년 3월 기준 정보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조건은 주택도시기금 및 각 은행에서 확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