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금
2025년 은퇴한 60대 이상을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metabloger
2025. 3. 26. 00:30
👴 2025년 은퇴한 60대 이상을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은퇴 후 고정 수입이 줄어드는 시기에 정부에서 제공하는 복지제도는 매우 중요한 버팀목이 됩니다.
2025년 현재, 만 60세 이상 국민들을 위한 정부지원금 제도는 다양하고, 대상자에 따라 중복 수혜도 가능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60대 이상 시니어가 신청할 수 있는 주요 지원금 제도 5가지를 소개합니다.
🏡 1. 기초연금
- 대상: 만 65세 이상,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 노인
- 지원 내용: 월 최대 323,180원 (2025년 기준, 단독가구 기준)
- 신청 방법: 국민연금공단 또는 주민센터
💬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 60대라면 꼭 챙기세요!
💵 2. 주거급여 (노인 단독가구 가능)
- 대상: 중위소득 48% 이하, 무주택자
- 내용: 월세 지원 또는 자가 수선비 지원
-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월세 부담이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입니다.
🥣 3.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 대상: 중위소득 30% 이하 고령층
- 내용: 생계비 현금 지원 (2025년 단독 기준 약 68만 원/월)
- 신청: 주민센터
💬 소득이 거의 없거나, 혼자 사는 노인이라면 가능성 높아요.
🧾 4.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수당
-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등
- 내용: 공익형 일자리 참여 시 월 30만 원 수준 지급
- 신청: 노인복지관 또는 시·군·구청
💬 건강하게 일하고 소득도 생기는 효자 정책!
🚌 5. 교통비 지원 & 감면 제도
- 대상: 만 65세 이상 시니어
- 내용: 지하철/버스 무료, 고속버스·기차 요금 할인 등
- 신청: 별도 없음 (신분증 또는 복지카드로 이용)
💬 자주 외출하시는 어르신께 유용한 생활 혜택입니다.
지원제도 | 지원 대상 | 지원 내용 | 신청 방법 | 중복 수혜 |
---|---|---|---|---|
기초연금 | 만 65세 이상, 소득기준 충족 | 월 최대 32만 원 지급 | 국민연금공단 / 주민센터 | 가능 |
주거급여 | 중위소득 48% 이하 무주택 가구 | 임대료 또는 수선비 지원 | 복지로 / 주민센터 | 가능 |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 중위소득 30% 이하 | 월 생계비 약 68만 원 | 주민센터 | 가능 |
노인일자리 사업 |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 월 30만 원 수준 수당 | 노인복지관 / 지자체 | 가능 |
교통비 감면 | 만 65세 이상 | 지하철/버스 무료, 요금 할인 | 복지카드 또는 신분증 제시 | 가능 |
✅ 마무리 정리 TIP
- 대부분 제도는 주민센터 or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
- 기초연금 + 주거급여 + 교통혜택 등 중복 수혜 가능
- 복지로 맞춤형 복지찾기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직접 확인 가능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반응형